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90초
약 30분 동안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될 예정입니다.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 및 센터를 기반으로 상담 - 교육 - 활동을 연계함으로써 50+세대의 사회적 관계 맺기를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Q누가 해당되나요?
만 50세 이상 (서울시민 또는 서울시 생활권자)
Q무엇을 받을 수있나요?/ 어떤 서비스인가요?
생애설계상담 및 교육, 일자리 제공, 커뮤니티 활동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Q어떻게신청하나요?
서울시 50+포털(www.50plus.or.kr)을 접속하세요.
Q더 자세한내용을알고싶어요!
서울시 50+ 상담센터(☎02-460-5050) 로 전화주세요.
서울시 50+포털(www.50plus.or.kr)을 방문하세요.
지역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족의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가족관계를 증진시키는 사업입니다.
전 국민 누구나 해당됩니다.
서비스 종류
건강가정지원센터 대표전화(☎1577-9337) 로 전화주세요
가까운 건강가정지원센터를 방문하세요.
한국건강가정진흥원(www.kihf.or.kr), 건강가정지원센터(familynet.or.kr)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가까운 가족센터에서 세부일정을 확인하세요.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법을 잘 몰라서 법의 보호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분들에게 법률 상담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드립니다.
무료 법률상담 : 전국민
민사사건 소송대리 및 형사사건 무료변론 : 소득기준에 해당하는 신청
무료 법률상담 및 민사사건 소송대리, 형사사건 무료변호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www.klac.or.kr)으로 예약 후 방문 또는 상담이 가능합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콜센터(☎132) 로 전화주세요.
콜센터(☎132) 또는 각 지역별 대한법률구조공단 지부·출장소·지소로 전화주세요.
대한법률구조공단 홈페이지(www.klac.or.kr)를 참고하세요.
자활하고자 하는 가구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삶을 지지하는 서비스입니다.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탈락자, 차상위 빈곤가구, 긴급지원 대상가구, 위기가구 중 통합사례가 필요한 가구 중 서비스 대상 선정자
서비스 내용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방문하세요.
보건복지콜센터(129)로 문의하세요
보건복지부홈페이지(www.mohw.go.kr)를 참고하세요.
전 국민에게 가사 전문상담위원 및 변호사와의 무료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법을 잘 모르고 경제적으로 어려워 직접 소송할 수 없는 경우 무료 소송을 지원합니다.
무료 법률상담 : 전 국민
민사사건 소송대리 및 형사사건 무료변론: 소득기준에 해당하는 신청자
무료법률상담 및 소송관련 서류 무료 작성, 소송구조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상담(1644-7077) 및 온라인상담을 신청하세요.
한국가정법률상담소 홈페이지(www.lawhome.or.kr)를 참고하세요.
가정폭력 피해자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치유 및 심신 회복 지원 서비스입니다.
가정폭력 피해자 및 동반아동
전국 가정폭력 상담소, 보호시설, 1366센터, 해바라기 센터를 방문하거나 전화로 신청하세요.
문의처 : 여성긴급전화(☎1366)
여성긴급전화 홈페이지(women1366.kr)를 참고하세요.
저소득 무주택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무주택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 내용
여성가족부 홈페이지(www.mogef.go.kr)에서 지역별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관할 시군구청 한부모가족 담당자 상담 후 입소신청서를 제출하세요.
문의처 : 관할 주민센터, 시군구청 관련 부서
입국초기의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이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없도록 통역과 번역 서비스를 지원하여 자립을 돕는 서비스입니다.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의 가족,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내방, 전화, 이메일 등으로 신청하세요.
문의처 : 다누리콜센터(☎1577-1366)
다문화가족지원포털 홈페이지(www.liveinkorea.kr)를 참고하세요.
최근 늘어나는 1인 가구의 고독·고립 등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지원합니다.
1인 가구(청년, 중장년, 노년 등)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예시
서비스 내용은 센터별로 상이하니 자세한 사항은 각 지역 가족센터에 문의바랍니다.
문의처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02-2100-6326)
지역 중심의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돌봄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맞벌이 가구 등의 육아부담을 경감하는 사업입니다.
돌봄이 필요한 만 6~12세 아동(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보호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다함께돌봄센터에 전화, 온라인 등으로 신청 후 센터에 방문하여 상담을 진행합니다.
정부24 온종일돌봄 원스톱 서비스(www.gov.kr)에서 신청하세요.
문의처 :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www.dadol.or.kr)를 참고하세요.